안녕하세요. 하치입니다.
오늘의 주제는 바로 달걀 생산 코드 ( Erzeugercode auf Eiren ) 입니다.
독일의 달걀에는 여러 표시들이 있는데 그것들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올 해 유럽의 살충제달걀파동으로 전 세계가 시끌시끌 했습니다.
저희도 그 때 독일에 있던 터라 많이 놀랬었습니다.
처음에는 네덜란드 달걀이 문제라고 해서 저희는 독일 달걀에 BIO만 먹었기 때문에 괜찮겠다 싶었어요.
그런데 독일 달걀에도 검출이 되어서 또 한번 철렁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.
다행히 뉴스나 신문에서 문제가 되는 달걀의 생산 코드를 공개해서 제가 샀던 달걀과 또 사려고 하는 달걀을 잘 확인 해서 구입했었습니다. 이러한 문제가 있었을 때 소비자 입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달걀 생산 코드는 중요한 것 이였습니다.
그래서 이 것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선 겉 표지 달걀 곽부터 살펴보겠습니다.
밑에 사진은 지금 저희가 가지고 있는 달걀입니다.
겉 표지로 알 수 있는 내용은 이렇습니다.
BIO는 유기농 달걀, 즉 자연 방목한 닭이 낳은 달걀이라는 뜻입니다.
FREILANDHALTUNG 는 양계장이지만 야외에서 자유로이 돌아다닌 닭의 달걀을 뜻합니다.
그리고 하얀색 스티커가 붙어있는데 이건 유통기한 및 달걀 사이즈를 알려줍니다.
참고로 독일의 날짜 기입법은 일.월.년 순입니다.
예를 들면 2017년 12월 29일은 29.12.17 이렇게 됩니다.
그럼 위에 BIO계란은 '29.12'이라고 적혀있으니까 유통기한이 12월 29 일까지 이고
그 밑에 FREILANDHALTUNG계란은 '12.01'이라고 적혀있으니까 1월 12일까지 유통기한이 되겠습니다.
실온보관시의 유통기한 인 것 같습니다.
그 옆에 또 다른 날짜가 있는데 그건 냉장 보관을 시작 해야 하는 날짜가 해당 온도와 함께 적혀있어요.
사자마자 늘 냉장 보관하기 때문에 잘 보진 않아요.
그리고 그 밑에는 L, M 이라고 달걀의 사이즈를 나타냅니다.
한국은 달걀 사이즈마다 금액이 다른데 이 곳은 금액이 다 같아요.
그래서 이 왕이면 L사이즈로 고른답니다.
참고로 S사이즈도 있어요.
이제 뚜껑을 열어서 계란을 살펴보겠습니다.
BIO달걀이 하나밖에 없네요.
빨간색으로 적혀있는 숫자와 알파벳들이 달걀에 적혀있습니다.
이것들이 바로 달걀생산코드입니다.
우선 BIO달걀을 보시면 0-DE-1600423 BIO,
밑에 FREILANDHALTUNG 달걀은 1-DE-1383321라고 적혀있습니다.
우선 각 코드에 대한 설명 후 풀어 드릴께요.
모든 달걀 곽뚜껑 안쪽에는 이 코드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습니다.
그래서 이해하기 편해요.
맨 처음의 숫자는 어떤 형식으로 닭을 키웠는지 알 수 있는 코드입니다.
0 = Bio-Haltung (유기농 / 방목)
1 = Freilandhaltung (양계장+자유방목)
2 = Bodenhaltung (양계장안 바닥에서 생활)
3 = Käfighaltung (아파트식 좁은닭장)
두 번째 2자리 알파벳은 달걀 생산 국가를 나타내는 코드입니다.
DE = 독일 (Deutschland)
NL = 네덜란드 (Niederlande)
FR = 프랑스 (Frankreich)
그리고 마지막 뒤의 7자리 숫자는 양계장 고유 코드를 뜻합니다.
그래서 문제가 되는 양계장이 있을 시 이 코드만 공지한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분해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.
그럼 다시 위의 달걀 코드를 가져와서 풀어보겠습니다.
' 0-DE-1600423 BIO '
0 : Bio (유기농달걀).
DE : 독일달걀.
1600423 : 양계장고유번호.
BIO : BIO계란이라는 표시입니다.
' 1-DE-1383321 '
1 : Freilandhaltung (양계장+자유방목한 닭의 달걀).
DE : 독일달걀.
1383321 : 양계장고유번호.
이 달걀은 2번을 가진 BODENHALTUNG의 계란입니다.
전 잘 안 사 먹어요.
그리고 3번을 가진 아파트 식 닭장에서 나온 계란은 아직 까지 못 봤습니다.
지금까지 장 보면서 가장 많이 보는 계란은 1,2번 계란인 것 같아요.
아무래도 좀 더 저렴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.
금액의 차이는 당연히
0 ( BIO ) > 1 > 2 > 3
순으로 높다고 생각하시면 되요.
그리고 살충제 달걀 파동 이후로는 네덜란드 달걀은 아예 구입하지 않습니다.
몇 개의 독일 계란도 문제가 있었지만 거의 네덜란드 계란이 문제였거든요.
이제 독일에서 계란 사실 때 이 코드를 보시고
원하시는 달걀을 구입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그럼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.
'독일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c Donald's] 독일의 맥도날드 (0) | 2018.01.02 |
---|---|
[Pfand] 판트, 빈병환불제도. (2) | 2017.12.31 |
[Treuepunkte] 쿠폰스티커 (0) | 2017.12.21 |
자전거타기 및 보행자주의점. (2) | 2017.12.20 |
[A2/B1쓰기시험준비] 편지쓰기 양식. (2) | 2017.12.13 |
댓글